안녕하세요? 신한투자증권 디지털PB센터입니다.
문의해 주신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.
1. 일반적으로 위탁계좌에 있는 주식을 ISA 중개형 계좌로 실물로 이전은 불가능 합니다. 위탁계좌에 있는
보유주식을 매도하여 현금으로 ISA 계좌에 입금한 후 다시 주식을 매수하여야 합니다.
2. 위탁계좌와 CMA 계좌의 차이
* CMA 계좌는 CMA RP(MMW 등) 로 보통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.
위탁계좌와 CMA는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계좌라는 공통점이 있지만, 주요 기능과 투자 대상에서 차이가
있습니다. 위탁계좌는 주식, 채권, 펀드 등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반면, CMA는 주로 단기
금융 상품에 투자하며 입출금이 자유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
◆ 위탁계좌 (증권 계좌)
ㅇ주요 기능: 주식, 채권, 펀드, ETF, 파생상품 등 다양한 금융 상품 거래 및 투자.
ㅇ특징: 투자 자금을 증권 계좌에 예치하여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.
ㅇ장점: 다양한 투자 상품에 대한 접근성이 높고, 자금 운용의 유연성이 높습니다.
ㅇ단점: CMA에 비해 이자율이 낮을 수 있으며, 투자 상품에 따라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.
◆ CMA (종합자산관리계좌):
ㅇ주요 기능: 단기 금융 상품 (RP, MMF, 채권 등) 투자, 입출금 및 공과금 자동이체 등. 주식투자도 가능
ㅇ특징: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발생하며, 입출금이 자유롭습니다. 최근 보통 연 2% 초반 이자(변동금리)
ㅇ장점: 높은 이자율, 수시 입출금 기능, 공과금 자동이체 등.
ㅇ단점: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아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.
간단히 요약하면
ㅇ위탁계좌: 다양한 투자 상품에 투자하는 계좌.
ㅇCMA: 단기 자금 운용 및 입출금에 특화된 계좌.
두 계좌를 비교하면
특징 | 위탁계좌 | CMA |
투자 대상 | 주식, 채권, 펀드 등 다양한 상품 | 단기 금융 상품 (RP, MMF 등) |
수익률 | 상품에 따라 다름 | 비교적 높은 이자율 제공 (일반 은행 예금보다 높음) |
입출금 | 비교적 자유로운 편 | 매우 자유로움 |
예금자 보호 | 증권사별 상품에 따라 다름 | 원칙적으로 보호되지 않음 |
ㅇ최근에는 증권사들이 위탁계좌와 CMA 기능을 합쳐 편리성을 높인 종합 위탁계좌를 제공하는 경우도
있습니다.
ㅇ증권사별로 서비스 내용 및 수수료 정책이 다를 수 있으므로, 실제 계좌 개설 시에는 꼼꼼히 비교해 보는
것이 좋습니다.
3. 증권사 계좌는 연말 세액공제 혜택이 있는 연금저축 및 IRP 계좌, 비과세 혜택이 있는 ISA 계좌를
기본적으로 만들고 필요시 추가적으로 CMA 계좌와 위탁계좌를 만들어 거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그리고 복잡하고 헷갈리게 여러 증권사를 거래하는 것 보다는 각종 수수료(매매수수료, 환전수수료 등) 혜택
등을 비교하여 한두개 증권사를 거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
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신한투자증권 디지털PB센터(02-3772-1010)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.
★ 신한투자증권은 고객님의 성공투자를 기원합니다 ★